“흔적 남기지 않기 7 수칙”
(The Seven Leave No Trace Principles)
흔적 남기지 않기(Leave no trace )캠페인
등산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우리의 자연 생태계는 큰 훼손을 당하고 있습니다. 우리 산악인은 앞장서서 자연보호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모범을 보여 주어야 겠으며 LNT(Leave no trace 흔적 남기지 않기) 켐페인 운동에 적극 동참해야겠습니다. 부산산악연맹 단체회원 여러분의 큰 관심 바람니다. 산림청 산하 ‘한국등산지원센터’가 주관하여 지난 2008년 11월21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산악계, 학계, 관계 등 관련 모든 단체와 방청객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건전한 등산활동과 산악환경 보전, 등산안전 등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해 주제발표와 더불어 활발한 지정토론을 벌였다. 이주희 대구대 교수는 ‘등산문화 개선을 위한 LNT(Leave No Trace) 프로그램의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른 취미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여가선용방법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등산객들이 산을 찾는 이유는 건강에 대한 관심, 번잡한 도시를 벗어나 정신적인 이완을 하려는 사람들, 호젓함과 시간적 여유를 즐기려는 사람들, 자연의 풍광과 소리를 감상하려는 사람 등 다양하다. 산악회나 등산단체의 급증에 의해서다. 이와 비례해서 식생 훼손, 서식종의 변화, 토양 침식 및 유실, 산불 발생, 생태계 교란 등과 같은 산림환경 훼손도 증가추세에 있다. 산을 좋아해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산이 더 상처를 받는다는 것은 대단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에만 지정되는 특별보호구, 사전예약제 등을 비롯한 직·간접적인 산림환경 보전방안들의 실효성도 의문이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직접 규제는 경범죄처벌법, 산림법, 자연공원법 등이 있다. 이는 벌금, 등산객 행위제한을 가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오히려 적대감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측면도 많다. 간접적 규제는 친환경 등산문화 교육을 통해서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LNT(Leave No Trace·흔적 남기지 않기) 프로그램이다. 이는 자연보호를 위한 윤리의식 고취, 생태계에 대한 지식의 보급, 산악기술의 보급과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규제가 아닌 교육에 중점을 둔다는 점, 우리 실정과 자연환경에 맞게 충분히 개선 보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등산객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LNT 등산문화 프로그램이 빨리 설계되어야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관기관과 함께 교육 및 홍보활동을 통하여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LNT 홈페이지 개설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확산되고 있다. 이를 주관하는 사이트(http://www.lnt.org)에서 “흔적 남기지 않기 7 수칙”(The Seven Leave No Trace Principles)을 살펴보자. 야영지와 휴식처에 쓰레기와 흘린 음식물을 점검하라. 모든 쓰레기, 남겨진 음식물, 생물분해성 비누의 작은 양을 사용한다. 설겆이 물은 흩뜨려 버린다. 요리를 위해서는 경량의 난로를 사용하고 밝히기 위해서는 등불로 즐겨라. 포식성과 다른 위험들에 접하게 하는 것이다. |
'산행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에서의 ‘으뜸호흡’ 최고의 건강법 (0) | 2015.12.08 |
---|---|
가을철 산행 발목 건강법 (0) | 2015.12.05 |
겨울철 눈길걷기 요령 (0) | 2015.12.04 |
겨울 산행 채비 “걸을 때는 가볍게, 쉴 때는 따뜻하게” (0) | 2015.12.04 |
산에서의 비상사태에 대한 대처법 (0) | 2015.12.04 |